-
21
-
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논쟁문제 유형 및 논쟁문제 교수학습 과정 분석
-
황미영;
박선운;
부산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3,
2021,
pp.183-215)
-
22
-
성 소수자 관련 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: 다문화 시민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
-
박선운;
박윤경;
서울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3,
2021,
pp.29-58)
-
23
-
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박윤경;
박선운;
청주교육대학교;
서울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24,
2021,
pp.39-63)
-
24
-
다문화 특별학급에서 일반학급으로의 환급 학생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
-
장인실;
박선운;
경인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,
v.14,
2025,
pp.33-58)
-
25
-
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의 선호: Kelly의 모형을 중심으로
-
박선운;
황미영;
청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;
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;
(교육연구,
v.91,
2024,
pp.47-71)
-
26
-
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(ESD) 내용 분석 -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-
-
성경희;
황미영;
박선운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부산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5,
2023,
pp.87-118)
-
27
-
대학입학사정관제와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
-
박성혁;
조영달;
성경희;
박선운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서울대학교;
(열린교육연구,
v.21,
2013,
pp.321-350)
-
28
-
A Comparative Case Study on Schools with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Majority: Centered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
-
YoungDal Cho,;
Yun-Kyoung Park,;
김재근,;
박선운,;
;
(市民敎育硏究 =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,
v.44,
2012,
pp.163-197)
-
29
-
초등 사회과 블렌디드 PBL(Problem-based learning)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협력적 실행 연구
-
박윤경;
박선운;
김지훈;
김지윤;
유소현;
청주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대전 산내초등학교;
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;
대전호수초등학교;
(학교와 수업 연구,
v.8,
2023,
pp.95-127)
-
30.
- 낙동강 하구 製鹽業의 변천과 소금 관련 민속
- 유승훈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, 185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