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의미론적 체험 연구를 위한 방법론: 후설과 비고츠키를 중심으로
-
박승억;
;
(범한철학,
v.86,
2017,
pp.147-170)
-
22
-
다양성 사회의 갈등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성찰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19,
pp.1-22)
-
23
-
혐오의 이중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21,
pp.59-79)
-
24
-
디지털 시대의 사고력과 시민 교양 -시나리오 구성 교육의 가능성 탐색-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18,
2025,
pp.7-27)
-
25
-
인문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8,
2015,
pp.7-32)
-
26
-
비동기 사회의 시간성 교란과 노화 혐오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22,
pp.368-386)
-
27
-
현상학적 판단중지와 가능세계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0,
2009,
pp.1-23)
-
28
-
생동하는 "학문"과 문화 -문화철학적 제 1철학의 가능성에 관하여-
-
박승억;
성균관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1,
pp.289-302)
-
29
-
학문 융합 시대의 후설 현상학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15,
pp.337-360)
-
30
-
인지과학과 현상학적 심리학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0,
2007,
pp.63-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