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인지문법을 통한 현대중국어 비원형장소빈어문 분석 - ‘寫黑板’ 구문을 중심으로 -
-
박응석;
선문대학교;
(중국어교육과 연구,
v.0,
2015,
pp.43-65)
-
22
-
대학 중국어 교재의 본문 텍스트와 삽화 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분석
-
박응석;
선문대학교;
(중국어교육과 연구,
v.0,
2014,
pp.151-165)
-
23
-
현대중국어 공간관계의 인지적 비대칭 연구 - ‘上 · 下 · 裏 · 外’를 중심으로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16,
pp.69-87)
-
24
-
몸 콘텐츠의 인지기호학적 분석 ― 의인화의 방식과 정도성에 대해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21,
pp.141-163)
-
25
-
인지의미론을 통한 비판적 프레임 분석 ― ⟨조선일보⟩와 ⟨한겨레⟩의 ‘코로나19’ 관련 중국어기사 헤드라인을 대상으로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20,
pp.115-140)
-
26
-
현대중국어 요가텍스트의 인지적 분석 ― 타동성과 공간개념을 중심으로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17,
pp.153-172)
-
27
-
중국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의 번역학적 접근— 문화어휘의 프레임 비교를 중심으로 —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교육과 연구,
v.0,
2019,
pp.245-269)
-
28
-
중국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경험학습(CBL)기반의 한국문화교육에 관한 연구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교육과 연구,
v.0,
2018,
pp.187-216)
-
29
-
현대중국어 방위 ‘前後左右’의 확정기제에 대한 인지적 분석― 래내커의 참조점 모형을 통해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17,
pp.107-127)
-
30
-
중국어 피트니스 텍스트에 대한 인지적 분석— 도식 내 역전현상, 통합 및 정교화에 대하여
-
박응석;
연세대학교;
(중국언어연구,
v.0,
2021,
pp.155-1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