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3/17 페이지
-
21
-
궁중 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 - 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를 생각하며
-
배영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5,
2007,
pp.99-146)
-
22
-
안동 오미마을 풍산 김씨 『世傳書畵帖』으로 본 문중과 조상에 대한 의식
-
배영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2,
2005,
pp.195-236)
-
23
-
마을사회의 의식주생활 조사의 관점
-
배영동;
;
(民俗硏究,
v.11,
2002,
pp.133-172)
-
24
-
전통농업은 왜 미래농업인가
-
배영동;
;
(실천민속학 새책,
v.1,
1999,
pp.345-366)
-
25
-
조선후기 두레로 본 농업생산의 주체
-
배영동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6,
2004,
pp.271-293)
-
26
-
박물관 관광의 의미와 역사ㆍ문화의 탐색적 이해
-
배영동;
;
(民俗硏究,
v.10,
2000,
pp.37-71)
-
27
-
마을사회의 토산물 생산문화 연구방법 - 안동지역 몇 마을의 삼베길쌈을 중심으로
-
배영동;
;
(民俗硏究,
v.14,
2005,
pp.249-274)
-
28
-
산간지역 기계모심기와 손모심기의 공존양상과 의의 -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의 사례를 중심으로
-
배영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31,
1999,
pp.193-221)
-
29
-
퓨전형 향토음식의 발명과 상품화
-
배영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8,
2008,
pp.179-212)
-
30
-
세시와 주거공간의 관련 양상
-
배영동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37,
2008,
pp.109-1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