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秦代 瓦當의 型式과 그 特徵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0,
pp.245-273)
-
22
-
高麗 後期 天龍山城의 現況과 性格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3,
pp.311-346)
-
23
-
원주 海美山城[金臺山城]의 학술 성과와 정비 방안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23,
pp.169-204)
-
24
-
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75-104)
-
25
-
6세기 중반 신라 丹陽 赤城의 景觀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9,
pp.5-27)
-
26
-
고구려 연구자를 위한 친절한 길라잡이 - 여호규ㆍ강현숙ㆍ백종오ㆍ김종은ㆍ이경미ㆍ정동민 저,『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』Ⅰ~Ⅹ(동북아역사재단, 2020ㆍ2021ㆍ2022) -
-
양시은;
충북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7,
2023,
pp.173-180)
-
27.
- 주암호 상류지류의 수질에 관한 연구 : 사평천을 중심으로
- 백종오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4p., 1997
-
28
-
忠州邑城 內 考古資料를 통해 본 統一新羅~朝鮮時代 變化過程 豫察
-
백종오;
강진주;
한국교통대학교;
국립한국교통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25,
pp.157-194)
-
29
-
中原 城郭遺蹟의 회고와 전망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1,
pp.77-127)
-
30
-
한국 고대 성곽의 원형과 전개 연구의 새 지평- 『高句麗 山城 硏究』(정원철 저, 동북아역사재단, 2017) -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0,
2018,
pp.317-3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