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6건 중 146건 출력
, 3/15 페이지
-
21
-
미스터리한 현실의 재현과 성찰 : 이창동 감독의 영화 <버닝>(2018)의 사실적인 캐릭터와 연기
-
이아영;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;
(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= Journal fo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,
v.13,
2019,
pp.123-133)
-
22
-
The Transition of ‘Sense’ in the movie Burning
-
Choi, Minseo;
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5,
2023,
pp.259-270)
-
23
-
소진된 인간-⟨버닝⟩의 아펙투스
-
신철하;
강원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20,
pp.191-210)
-
24.
- 잭 런던의 작품에 나타난 자본주의 비판과 휴머니즘 : 강철군화와 버닝 데이라이트를 중심으로
- 임문희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60 p., 2023
-
25
-
Is Ben a Vampire?: A Textual Reading of Burning
-
Kwak, Han Ju;
;
(영화연구= Film studies,
v.86,
2020,
pp.47-75)
-
26
-
Pump-Probe 방법을 이용한 CuBr 반도체 양자구슬에서의 홀버닝 현상
-
박성욱;
;
(새물리 = New physics,
v.46,
2003,
pp.226-230)
-
27
-
Movie 〈Burning〉 : A Trauma and a Stage of Pantomime-Fantasy which Subject’s Desire is Presented
-
Son, Seong Woo;
;
(영화연구= Film studies,
v.77,
2018,
pp.103-130)
-
28
-
The Duality and Concurrency of Deficiencies Seen in the Film Burning
-
Jeong, Mi-Suk;
;
(연기예술연구 = Journal of acting studies,
v.16,
2019,
pp.177-197)
-
29
-
영화 ⟨버닝⟩(2018)에 나타난 ‘감각’의 이행(移行)
-
최민서;
중앙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5,
2023,
pp.259-270)
-
30
-
존 버닝햄 그림책 『셜리야, 물가에 가지 마!』, 『셜리야, 목욕은 이제 그만!』 의 상상적 함의: Bakhtin의 카니발 개념을 이용한 해석
-
정유정;
세한대학교 유아교육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9,
2023,
pp.551-5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