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대한민국과 중국의 2022년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변화 양상 분석
-
서보억;
충남대학교;
(교과교육학연구,
v.27,
2023,
pp.298-313)
-
22
-
역사 속의 진법과 유추를 통한 진법의 확장에 대한 연구
-
서보억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22,
2009,
pp.187-206)
-
23
-
유클리드의 자료론(The Data)에 기초한 중학교 기하영역의 '자료(datum)' 분석 연구
-
서보억;
대구가톨릭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24,
2010,
pp.691-708)
-
24
-
유클리드의 자료론(The Data)과 분할론(On Divisons)에 기초한 수학교육에서 분석과 종합에 대한 고찰
-
서보억;
대구가톨릭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C :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,
v.14,
2011,
pp.27-41)
-
25
-
한 가지 수학적 사실을 활용한 다양한 수학탐구활동
-
서보억;
경상대학교 대학원;
(대한수학교육학회 2008년도 제13회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 프로시딩,
v.2008,
2008,
pp.87-92)
-
26
-
중국의 중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교육 방안 탐색: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-
서보억;
임해미;
충남대학교;
공주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37,
2023,
pp.329-348)
-
27.
- 한국ㆍ미국ㆍ러시아의 수학영재 교육과정 비교 연구
- 서보억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07 p., 1997
-
28
-
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(storytelling)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
-
서보억;
대구가톨릭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52,
2013,
pp.65-82)
-
29
-
구체적 수학탐구활동 사례를 통한 학교현장 수학 탐구방법 탐색
-
서보억;
충남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35,
2021,
pp.193-212)
-
30
-
2011년 발표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
-
서보억;
충남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C :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,
v.18,
2015,
pp.1-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