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일본의 정치리더십과 마쓰시타 정경숙(松下政經塾) - 교육철학 · 세력화 · 에토스
-
최은봉;
석주희;
;
(담론201,
v.17,
2014,
pp.155-181)
-
22
-
The Democratic Peace and its Historical, Geopolitical Formation in Nordic Region and Northeast Asia
-
Inchoon Kim,;
석주희,;
;
(문화와 정치 = Culture and politics,
v.4,
2017,
pp.69-109)
-
23
-
1990년대 이후 일본의 해양정책과 어업문제를 둘러싼 인식과 대응
-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3,
pp.49-84)
-
24
-
지정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‘평화선’에 대한 일본의 인식
-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4,
pp.219-245)
-
25
-
일본의 축소사회 위기와 이민정책 -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공생을 중심으로
-
석주희;
대전대학교 글로벌지역문화연구소;
(민족연구,
v.0,
2021,
pp.115-136)
-
26
-
『제국의 섬 - 류큐·센카쿠에 대한 식민지주의와의 투쟁』松島泰勝, 2020, 『帝国の島ー 琉球・尖閣に対する植民地主義と闘う』, 明石書店
-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2,
pp.229-247)
-
27
-
일본의 우익과 조총련 문제에 관한 고찰
-
석주희;
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;
(한림일본학 (구 한림일본학연구),
v.0,
2020,
pp.97-115)
-
28
-
신우익의 등장과 ‘일상적 내셔널리즘’의 탄생
-
석주희;
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;
(민족연구,
v.0,
2020,
pp.60-73)
-
29
-
중·참의원 의사록(1948~2020)에서 나타나는 시마네현·돗토리현 지역구 의원의 독도 관련 발언 및 인식
-
석주희;
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;
(국제학논총,
v.34,
2021,
pp.109-150)
-
30
-
일본의 국경낙도 제도와 대응 : 정부·지자체·민간단체를 중심으로
-
석주희;
대전대학교 글로벌지역문화연구소;
(일본공간,
v.0,
2021,
pp.235-2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