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Partnership with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or Gender-Responsive Budgeting : A Strategy for Mainstreaming Gender in Korea’s ODA
- 김경하
-
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, 국내석사,
ⅸ, 48 p., 2009
-
22
-
UN 젠더 주류화 20년과 한국: 거버넌스적 조망
-
김경숙;
공주대학교;
(민족연구,
v.0,
2015,
pp.134-156)
-
23
-
A Study on the Impact of Gender Mainstreaming Policy Literacy on the Performance of Work-Family Balance Schemes in Social Enterprises: Toward a Gender Budgeting and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
-
Oh, Youngmin;
Son, Hyeongi;
;
(한국사회와 행정연구 =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,
v.34,
2023,
pp.51-78)
-
24
-
지방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 연구: 공무원의 소속부서와 제도 운영의 주도부서가 제도 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
-
박현신;
김희경;
동덕여자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지방행정연구,
v.32,
2018,
pp.267-302)
-
25.
- 지방정부 성인지 예산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: 진안군 지방공무원 인식 중심으로
- 황승욱
-
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6 p., 2020
-
26
-
한국폴리텍대학 적정교육훈련 규모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
-
최지영;
김영숙;
정제련;
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 모바일정보통신;
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예산센터;
(주)정책과평가;
(JPEE :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= 실천공학교육논문지,
v.9,
2017,
pp.69-75)
-
27.
- 창원시 성인지 예산제도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- 김태연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90 p., 2021
-
28
-
한국폴리텍대학 적정교육훈련 규모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
-
최지영;
김영숙;
정제련;
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 모바일정보통신;
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예산센터;
(주)정책과평가;
(JPEE :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= 실천공학교육논문지,
v.9,
2017,
pp.69-75)
-
29.
- 기초자치단체 내 대표관료제가 성인지 예산제도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
- 박재원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10 p., 2022
-
30.
- 여성 정치세력화 방안과 전략에 관한 고찰
- 서소연
-
경상대학교, 국내석사,
vi, 94장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