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6건 중 166건 출력
, 3/17 페이지
-
21
-
마이너리티문학 속의 마이너리티이미지 -재일제주인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을 중심으로-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2,
pp.283-320)
-
22
-
『체인지링』(取り替え子)론 -문학적 장치로서의 죽은 자-
-
소명선;
부산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5,
pp.355-372)
-
23
-
1950년대의 일본열도가 본 ‘한국전쟁’ ―1950년대에 발행된 일본 문예지를 중심으로―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23,
pp.203-231)
-
24
-
사키야마 다미의 『무이아니유래기』론 -‘무이아니’ 유래 탐색의 의미와 젠더 전략에 관해-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5,
pp.177-196)
-
25
-
A study on Oe Kenzaburo's the series of ‘rain tree' -meta thought and metaphor as rhetoric-
-
소명선,;
;
(日本近代學硏究,
v.null,
2011,
pp.245-266)
-
26.
- 大江健三郞の<神話形成>と歷史認識
- 소명선
-
九州大學, 국외박사,
190p., 2004
-
27.
- 체육 수업 내적동기와 신체적 유능감 정보의 관계
- 소명선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77 장, 2007
-
28
-
大江文學における〈神話形成〉について
-
소명선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51,
2004,
pp.333-349)
-
29
-
오에 겐자부로의 「『새싹 뽑기, 어린 짐승 쏘기』재판」론 ‒‘재판’의 함축적 의미를 중심으로‒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20,
pp.147-164)
-
30
-
종군 ‘위안부’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해 -양석일(梁石日)의 『다시 오는 봄(めぐりくる春)』을 기저로-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2,
pp.175-1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