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『도시와 개들』의 폭력과계급 질서: 유사와 대립의 이원적 구조
-
송병선;
울산대학교;
(이베로아메리카 연구,
v.26,
2015,
pp.179-204)
-
22
-
소설과 현실참여 : ⟨훼데리꼬 감보아의 경우⟩
-
황진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0,
pp.323-342)
-
23
-
안토니오 에스피나의 소설 미학과 영화 기법
-
김찬기;
경희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3,
pp.257-275)
-
24
-
아르뚜로 우슬라르 삐에뜨리와 역사소설
-
최권준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2,
pp.1-17)
-
25
-
엘린 펠린의 《게라크가(家) 사람들》의 상징 구조
-
신윤곤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6,
2004,
pp.329-349)
-
26
-
호세 마리아 아르게다스와 인디오
-
최미경;
경희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6,
pp.287-306)
-
27
-
사실주의 및 자연주의 소설에 나타난 지역성 - 갈매기와 우요아의 대저택을 중심으로 -
-
박효영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5,
pp.163-178)
-
28
-
스페인 여성피카레스크 소설을 통해 본 남과 여
-
송선기;
조선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4,
pp.227-246)
-
29
-
미국의 다문화주의와 치카노 소설의 전개과정
-
박종율;
서울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8,
pp.149-170)
-
30
-
사키야마 다미의 「수상요람」론‒‘섬’을 이야기하는 문학적 방법‒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9,
pp.103-1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