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‘어제런 듯하여라’ 시조와 시간 경험의 교육
-
송지언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2,
pp.189-220)
-
22
-
일 서사의 전개와 지향에 대한 고찰 - <광작>, <허생전>, <미생>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5,
pp.243-274)
-
23
-
평가자에 따른 작문 평가 결과의 비교 연구 - 채점(scoring) 및 총평(description)의 양상을 중심으로 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16,
pp.29-63)
-
24
-
A Study on “Three Sentence Writing”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
-
조형일,;
송지언,;
;
(새국어 교육,
v.113,
2017,
pp.163-194)
-
25
-
고전시가를 통한 장소 경험과 지역문학교육 -호남지역 원림문학을 중심으로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4,
pp.147-175)
-
26
-
외국 국어 교과서의 운율 교육내용 비교연구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1,
pp.41-84)
-
27
-
<한거십팔곡(閑居十八曲)>과 통과제의
-
송지언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8,
pp.303-328)
-
28
-
‘달’ 소재 애정시가의 비교와 문화 교육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4,
pp.95-126)
-
29
-
시조의 관습성과 탈관습성을 통한 고전문학교육의 구상
-
송지언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5,
pp.81-106)
-
30
-
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평가 실습 수업 사례 연구
-
서명희;
송지언;
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14,
pp.77-1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