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沈大允 散文의 議論性 一考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5,
pp.37-76)
-
22
-
연암문학의 발견과 실학의 지적 상상력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09,
pp.447-484)
-
23
-
尹根壽의 敍事 散文 일고 -義兵 기억의 재구를 중심으로-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36,
2013,
pp.55-95)
-
24
-
조선시대 문학비평에 나타난 記事의 사실성과 문학성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9,
pp.27-52)
-
25
-
소차류(疏箚類) 산문의 입의(立意)와 수사(修辭) 양상 일고 - 허적(許積) 논척과 관련한 소차들의 비교를 중심으로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84-111)
-
26
-
17세기 후반~18세기 초 허목 계열 남인 문단의 산문론 - 동시기 김창협 계열 산문론과의 대비를 중심으로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27,
2005,
pp.80-108)
-
27
-
災異 관련 應旨上疏文의 관습과 수사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4,
pp.463-493)
-
28
-
老․少 分岐期의 學的 地形과 南九萬 계열 소론계의 문학비평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고전과 해석,
v.10,
2011,
pp.181-210)
-
29
-
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1,
pp.143-180)
-
30
-
18세기초 散文理論의 전개양상 日考 - 李宜顯·申維翰·趙龜明의 대비를 중심으로 -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3,
pp.203-2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