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1건 중 161건 출력
, 3/17 페이지
-
21
-
이인성의 동양화와 그 시대성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2,
2012,
pp.87-117)
-
22
-
왜관수도원 소장 정선《화첩》의 <행단고슬>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10,
pp.281-310)
-
23
-
재배지대와 유형이 꽃향유의 생육 및 개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
-
최영민;
이진재;
정동춘;
김홍기;
송희경;
이승윤;
최소라;
한현아;
추한나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원예과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;
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작물식품과;
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37,
2024,
pp.392-400)
-
24
-
Genres and Representations in ShaoYungGoSaDo(Narrative painting of Shao Yung as a historical figure) during Late Joseon Dynasty
-
송희경,;
;
(石堂論叢 = Journal of Seokdang Academy,
v.49,
2011,
pp.55-90)
-
25
-
20세기 전반 서화가의 아회와 서화합작— 우청 황성하의 작품을 중심으로 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13,
pp.189-222)
-
26
-
정원 속의 작은 정원 — 조선후기 盆景애호와 園林畵의 분경 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09,
pp.401-440)
-
27
-
정선이 그린 정호⋅정이 고사인물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1,
pp.239-275)
-
28
-
18세기 아회도의 조형성과 그 표상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漢文學報,
v.26,
2012,
pp.73-99)
-
29
-
18세기 전반 회화의 새 경향 -정선(鄭敾) 고사인물화(故事人物畵)의 유형과 그 표상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17,
2009,
pp.219-254)
-
30
-
淸陰 金尙憲의 歷史 意識 - 詩文學을 중심으로
-
송희경;
대전지족고등학교 교사;
(漢文古典硏究,
v.29,
2014,
pp.181-2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