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파금의 《수상》 고찰
- 강진희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104 p., 2012
-
22
-
김찬국의 인권 사상
-
한동구;
평택대학교;
(신학사상,
v.0,
2019,
pp.131-155)
-
23
-
베이핑 지하당 시기 장지락 문학의 주제적 연구
-
손만녕;
최창륵;
남경대학교 한국어문학과;
南京大學;
(한국학연구,
v.0,
2025,
pp.135-164)
-
24
-
신 중국 건국 후의 바진( 巴金 ) 사상 연구
-
;
;
(융합인문학,
v.3,
2015,
pp.57-75)
-
25.
- Rousseau의 Emile에 나타난 고전 텍스트와 권두화의 비판적 분석을 통한 교사의 역할 탐색
- 정은주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ⅳ, 120 p., 2009
-
26.
- 바흐친의 다성성 관점에서 본 「선귤당농소(蟬橘堂濃笑)」의 대화적 글쓰기
- 전정화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4 p., 2020
-
27
-
일엽선사一葉禪師의 생애와 사상 - 『행복과 불행의 갈피에서』를 중심으로
-
한운진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한마음연구,
v.11,
2023,
pp.155-204)
-
28
-
공적 지평 속의 교회 –춘계 이종성이 말하는 한국 교회와 한국 사회
-
이상은;
서울장신대학교;
(장신논단,
v.49,
2017,
pp.217-242)
-
29.
- 청마 유치환의 심상 체계 연구
- 김수정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1 p., 2003
-
30
-
기행가사와 산수유기(山水遊記) 비교 고찰 - 어당(峿堂) 이상수(李象秀)의 「금강별곡」과 「동행산수기」를 대상으로 -
-
장정수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7,
pp.5-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