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신채호 시의 구조화 방식
-
신용목;
한국교통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2,
pp.133-164)
-
22
-
정지용의 「바다 2」 분석 -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-
-
신용목;
고려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0,
pp.535-557)
-
23
-
1990년대 한국 여성시에 나타난 ‘액화’ 이미지 연구
-
신용목;
조선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0,
pp.65-90)
-
24
-
‘詩畫一如’와 ‘情景의 시학’ - 이미지즘과 정지용 시 읽기
-
신용목;
고려대;
(국제언어문학,
v.0,
2019,
pp.197-224)
-
25
-
1990년대 한국 여성시의 탈범주화 과정 연구: 나희덕, 김언희 시를 중심으로
-
신용목;
조선대학교;
(국어문학,
v.75,
2020,
pp.217-240)
-
26
-
‘기호-되기’와 「오감도-시제1호」
-
신용목;
조선대학교;
(국어문학,
v.78,
2021,
pp.281-304)
-
27
-
이용악 시에 나타난 ‘수직’의 운동성과 그 성격
-
신용목;
고려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19,
pp.435-468)
-
28
-
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‘얼굴’ 표상 연구
-
신용목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9,
pp.225-259)
-
29
-
이용악 시에 나타난 ‘자연’의 성격과 정동의 구조
-
신용목;
고려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18,
2019,
pp.39-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