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The Experiences of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the Recognition of Western Learning Reflected in the Journals of Travel to Beijing
-
신익철;
;
(The Review of Korean Studies,
v.9,
2006,
pp.11-32)
-
22
-
『연사일록』의 서술 방식과 청국의 혼란상 및 풍속에 대한 인식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2,
pp.161-194)
-
23
-
『호구일록』과 『응암지』를 통해 본 실기문학의 기록과 전승의 두 층위
-
신익철;
;
(한국학,
v.47,
2024,
pp.241-274)
-
24
-
명청 교체기 해로사행의 항해 노정과 해신제(海神祭): 홍익한의 『조천항해록』과 이흘의 『조천일기』를 중심으로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113-155)
-
25
-
詩選集 鮮音과 丁學淵 가을 연작시의 정서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藏書閣,
v.0,
2005,
pp.47-66)
-
26
-
李器之의 ?一菴燕記?와 西學 접촉 양상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05,
pp.163-191)
-
27
-
조선 후기 연행록에 나타난 이계(異界) 풍경과 기괴(奇怪) 체험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日本學硏究,
v.47,
2016,
pp.97-124)
-
28
-
조선후기 필기․야담에 나타난 友道의 형상과 의미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6,
pp.93-118)
-
29
-
‘연행록사전 편찬 및 DB 구축 사업’의 성과와 활용 방안
-
감준희;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4,
pp.11-48)
-
30
-
조선조 묘향산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
-
申翼澈;
;
(泮橋語文硏究,
v.17,
2004,
pp.55-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