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인도의 神觀과 불교 神將 이미지의 형상화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미술자료,
v.0,
2019,
pp.166-192)
-
22
-
고양 상운사 석불좌상과 조선 전기 조각 양식의 전통과 모색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2,
2019,
pp.246-263)
-
23
-
통도사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조형과 편년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불교미술사학,
v.25,
2018,
pp.127-157)
-
24
-
경기명가 기증유물로 본 조선 사대부의 삶- 관직 생활을 중심으로 -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2,
pp.81-124)
-
25
-
소그드 石葬具 발견 현황과 歐美의 硏究史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20,
pp.39-78)
-
26
-
양주 회암사지(楊州 檜巖寺址) 4단지 문지 출토소조편(塑造片)을 통해 본 회암사 사천왕상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4,
2021,
pp.168-191)
-
27
-
부석사 조사당 신장 벽화를 통해 본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6,
2023,
pp.64-78)
-
28
-
거용관 과가탑 조각을 통해 본 원 제국 一統의 꿈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2,
pp.345-377)
-
29
-
지금, 바로 여기, 불국토 : 통일기 신라의 불탑 인식과 사천왕 이미지의 활용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23,
pp.359-384)
-
30
-
Historical Narrative and Artistic Evidence: Reexamining the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Bukhansanseong and the Establishment of Seungyeong Temple through the Artifacts from Sangunsa Temple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Korea Journal,
v.65,
2025,
pp.204-2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