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3/16 페이지
-
21
-
서양학계의 한국고대사 인식체계의 변화 - 동양학계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
-
여호규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0,
2010,
pp.1-47)
-
22
-
4세기 후반~5세기 초엽 고구려(高句麗)와 백제(百濟)의 국경 변천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2012,
2012,
pp.169-213)
-
23
-
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
-
여호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6,
2012,
pp.43-93)
-
24
-
논문-6세기말~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-대수관계를 중심으로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46,
2002,
pp.1-35)
-
25
-
高句麗 國內 遷都의 시기와 배경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05,
pp.37-84)
-
26
-
망각했던 ‘공간’에서 주목해야 하는 ‘공간’으로 -여호규, 시간이 놓친 역사, 공간으로 읽는다(푸른역사, 2023)-
-
이현태;
국립박물관;
(한국문화연구,
v.45,
2023,
pp.243-250)
-
27
-
[기획1 : 한국역사연구회 기획발표회 토론요지문] 한국 고대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
-
하일식;
서의식;
여호규;
주보돈;
전덕재;
김창석;
윤선태;
;
(역사와 현실,
v.50,
2003,
pp.339-377)
-
28
-
망각했던 ‘공간’에서 주목해야 하는 ‘공간’으로 -여호규, 시간이 놓친 역사, 공간으로 읽는다(푸른역사, 2023)-
-
이현태;
국립박물관;
(한국문화연구,
v.45,
2023,
pp.243-250)
-
29
-
5세기 후반 高句麗· 勿吉의 충돌과 북방 接境空間의 변화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앙사론,
v.0,
2018,
pp.155-209)
-
30
-
광개토왕릉비 제3~4면의 비면 현황과 비문 판독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23,
pp.61-10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