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3/16 페이지
-
21
-
연구동향 한국 고대의 국가형성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19,
1996,
pp.219-242)
-
22
-
고구려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
-
Yeo, Ho-Kyu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71,
2013,
pp.55-96)
-
23
-
서양학계의 한국고대사 인식체계의 변화 - 동양학계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
-
여호규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0,
2010,
pp.1-47)
-
24
-
4세기 후반~5세기 초엽 고구려(高句麗)와 백제(百濟)의 국경 변천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2012,
2012,
pp.169-213)
-
25
-
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
-
여호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6,
2012,
pp.43-93)
-
26
-
논문-6세기말~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-대수관계를 중심으로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46,
2002,
pp.1-35)
-
27
-
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
-
余昊奎;
;
(軍史 = Military history,
v.54,
2005,
pp.1-37)
-
28
-
China's Northeast Project and Trends in the Study of Koguryŏ History
-
여호규;
;
(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0,
2006,
pp.121-155)
-
29
-
고구려 연구자를 위한 친절한 길라잡이 - 여호규ㆍ강현숙ㆍ백종오ㆍ김종은ㆍ이경미ㆍ정동민 저,『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』Ⅰ~Ⅹ(동북아역사재단, 2020ㆍ2021ㆍ2022) -
-
양시은;
충북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7,
2023,
pp.173-180)
-
30
-
高句麗 國內 遷都의 시기와 배경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05,
pp.37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