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디지털 시대 고전시가 읽기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8,
pp.65-90)
-
22
-
시조 번역, 그 해석과 창안의 여정에 대한 탐구–R. Rutt의 시조 영역을 예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8,
2023,
pp.395-429)
-
23
-
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으로부터의 질문과 도전 - 교육과정 기획자로서의 교사의 출현 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2,
pp.45-76)
-
24
-
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-『고전문학과 교육』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9,
pp.5-40)
-
25
-
세계화 시대, 시조의 고유성과 보편성 탐색 -형식 논의로 본 시조의 매력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우리말글,
v.87,
2020,
pp.357-389)
-
26
-
향가의 실재와 믿음 형성에 대한 고찰 -<도솔가>와 <제망매가>, <혜성가>를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3,
pp.291-331)
-
27
-
다양성의 시대 (한)국어교육: 학생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4,
pp.7-40)
-
28
-
小兒期 腸티프스의 統計的 臨床的 考察
-
廉殷烈;
;
(소아과 =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,
v.16,
1973,
pp.35-41)
-
29
-
충북 혁신학교 성과에 대한 질적 분석
-
이은주;
염은열;
김남균;
이선경;
청주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학교와 수업 연구,
v.6,
2021,
pp.1-30)
-
30
-
‘권장’의 형식을 통한 고전문학의 현재적 발견에 대한 성찰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11,
pp.303-3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