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광합성 세균의 Cytochrome bc₁ Complex를 실험주제로한 생물실험교육의 모형화 /
-
吳德鐵;
;
(科學敎育 = Journal of scienc education,
v.5,
1988,
pp.51-60)
-
22
-
양식넙치에서 분리한 새로운 <tex> $ alpha$</tex>-용혈성 세균 Vibrio sp. Strain JM1의 특성
-
강봉조;
강형일;
이동헌;
윤병준;
오덕철;
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,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제주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, 제주대하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;
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;
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;
제주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,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(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,
v.2001,
2001,
pp.377-378)
-
23
-
감귤농축액 첨가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 비교
-
김만철;
김민주;
김택;
박근태;
손홍주;
김기영;
최우봉;
오덕철;
허문수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;
(주) 대우환경;
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;
밀양대학교 생명공학과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;
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/바이오물질제어학과;
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;
(한국생물공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,
v.21,
2006,
pp.72-78)
-
24
-
제주 연안 퇴적층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동정 및 단백질분해효소 특성
-
김만철;
장태원;
김주상;
한용재;
Ramasamy Harikrishnan;
한송헌;
오덕철;
허문수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생명과학회지,
v.19,
2009,
pp.787-792)
-
25
-
제주도내 양식장 배출수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
-
김만철;
장태원;
한용재;
김주상;
Ramasamy Harikrishnan;
오덕철;
김기영;
허문수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생명과학회지,
v.19,
2009,
pp.943-948)
-
26.
- 제주도 화구호 습지의 세균군집 분석
- 변후돈
-
제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4장., 2013
-
27.
- Diversity and Novel Strains of Sulfur Compounding Bacteria in the Swinery Sludge
- 김지영
-
제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ⅸ, 125장., 2013
-
28.
- 제주도의 콩과식물과 공생하는 질소고정 근류균의 분포에 대한 연구
- 유한수
-
제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6장., 20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