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28건 중 328건 출력
, 3/33 페이지
-
21
-
A Critical Review of the Integration of Development Aid Agencies into Ministries of Foreign Affairs: Case Studies of Canada, Australia, and the United Kingdom
-
Sohn, Hyuk-Sang;
Lee, Jinyoung;
;
(國際政治論叢,
v.63,
2023,
pp.161-196)
-
22
-
5·16군사정변 당시 북한의 인식 및 중국과의 의사소통 과정 연구 -중국 외교부 기밀 해제 문서를 중심으로
-
학군환;
중국 북경대학교 조한어과 박사수료;
(북한학연구,
v.7,
2011,
pp.235-265)
-
23
-
Congratulatory Remarks
-
박철주;
외교부;
(서울국제법연구,
v.22,
2015,
pp.5-6)
-
24
-
인공지능(AI) : 트럼프 1기 대통령실 주요 문서 분석 및 2기 정책방향 조망에의 함의
-
신동민;
외교부;
(한국과 세계,
v.7,
2025,
pp.521-542)
-
25.
- 외교적 E-nfluencers: 필리핀 외교부의 디지털 외교 성숙도 결정 연구
- Ramona R. Jose-Bullecer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9 p., 2023
-
26
-
2024년 대만선거와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함의
-
표나리;
외교부 국립외교원;
(국가안보와 전략,
v.24,
2024,
pp.37-70)
-
27
-
한국 투자협정상 중재절차의 투명성 연구
-
백지열;
외교부 경제협정규범과;
(통상법률,
v.0,
2021,
pp.34-69)
-
28
-
동아시의의 지역통합에 대한 이론적 전망에 관한 연구
-
타기M.페라미;
신상협;
이란외교부;
경희대학교;
(아태연구,
v.12,
2005,
pp.61-76)
-
29
-
북러 군사협력 논의와 평양의 지향점: 미 확장억제 공약에 대한 도전
-
황일도;
외교부 국립외교원;
(통일정책연구,
v.32,
2023,
pp.85-105)
-
30
-
기능주의적 한중관계 접근에 대한 비판적 소고 : ‘문화’를 중심으로
-
표나리;
외교부 국립외교원;
(중소연구,
v.47,
2023,
pp.181-2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