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李淸俊 小說에 나타난 不安 意識 연구
-
우찬제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33,
2005,
pp.189-212)
-
22
-
분단 환경과 경계선의 상상력
-
우찬제;
서강대학교;
(동아연구,
v.30,
2011,
pp.5-36)
-
23
-
청중은 있는가?-수사적 상황에서 ‘청중’의 존재 방식
-
우찬제;
서강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9,
2005,
pp.357-382)
-
24
-
생태학적 무의식과 생태 윤리 -이청준 소설의 경우-
-
우찬제;
서강대학교;
(동아연구,
v.0,
2010,
pp.187-217)
-
25
-
‘쓰레기-치유’를 위한 문학 윤리
-
우찬제;
서강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19,
2020,
pp.91-116)
-
26
-
수사적 상황의 상호 수행적 역동성과 열린 텍스트
-
우찬제;
서강대학교;
(동아연구,
v.0,
2007,
pp.419-456)
-
27
-
The Rhetoric of Roots- en-Abyme and Grafting on Hwang Sun-won’s Novel
-
우찬제,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4,
2015,
pp.125-142)
-
28
-
A Study on the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 of Ecological Identity in 'a Phenomenon of Sehando'
-
우찬제,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6,
2017,
pp.253-280)
-
29
-
Speech of Trees and Imagination of the Union of Self and Things: Focused on Lee Chung-jun’s Fictions
-
우찬제,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3,
2014,
pp.137-162)
-
30
-
청중은 있는가?-수사적 상황에서 ‘청중’의 존재 방식
-
우찬제;
서강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9,
2005,
pp.357-3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