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인천의 극장 문화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6,
pp.45-88)
-
22
-
식민지 개항도시 극장의 장소성 -군산 지역을 중심으로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0,
pp.35-75)
-
23
-
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(locality) -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
-
위경혜;
전남대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2,
pp.543-581)
-
24
-
한국전쟁이후~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0,
2010,
pp.337-364)
-
25
-
植民地 近代文化의 混種性-1920년대 木浦劇場과 東春서커스-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韓日民族問題硏究,
v.0,
2013,
pp.37-78)
-
26
-
영화 수용의 지역성(locality)
-
위경혜;
중앙대학교;
(영상예술연구,
v.0,
2004,
pp.157-180)
-
27
-
1960~1970년대 경기도 주요 도시 흥행 자본과 극장문화 : 모빌리티 시스템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6,
2023,
pp.239-270)
-
28
-
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의 지역사(성) 연구와 구술사 방법론
-
위경혜;
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8,
pp.85-114)
-
29
-
1980년대 한국/영화를 다시 읽기―정성일·이효인·정종화·허남웅·김영진·김혜선·유운성·공영민·이수연, 한국영상자료원 엮음, 『1980년대 한국영화: ‘서울의 봄’부터 코리안 뉴웨이브까지』(앨피, 2023)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4,
pp.227-239)
-
30
-
문화냉전의 지역성-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-
-
위경혜;
전남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8,
pp.123-1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