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베트남 『전기신보(傳奇新譜)』와 『신전기록(新傳奇錄)』의 우언소설적 성격에 대하여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4,
pp.217-240)
-
22
-
한국 한문학에서 본 中國 江南의 文學地理學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2,
pp.241-274)
-
23
-
한국 도교문학의 정체성 파악을 위하여 - 정민, ⟨⟨초월의 상상⟩⟩, 휴머니스트, 2002. -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22,
2002,
pp.317-322)
-
24
-
한국 고시가의 강남 문학지리학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4,
pp.455-498)
-
25
-
우언문학사와 초기소설의 관련 양상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7,
pp.35-63)
-
26
-
동아시아 고소설의 우언 활용의 비교고찰 - 전통적 몽유/쟁변 화소의 상상체계를 중심으로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4,
pp.71-97)
-
27
-
⟨오륜전비⟩ 번안소설 이본에 대한 연구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135,
2003,
pp.41-58)
-
28
-
우언과 성리학 -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-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0,
pp.129-168)
-
29
-
⟨孔子童子問答⟩의 동아시아적 전개 비교론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4,
pp.357-396)
-
30
-
한국 고전문학에서 본 중국 산동과 강남의 체험과 인식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5,
pp.277-3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