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4건 중 144건 출력
, 3/15 페이지
-
21
-
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ts 돌연변이체의 분리
-
이근광;
조일환;
이형환;
건국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ㆍ생물학과;
건국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ㆍ생물학과;
건국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ㆍ생물학과;
(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,
v.1986,
1986,
pp.513.1-513.1)
-
22
-
뱀장어 아기미 울혈증에 관한 연구
-
김영길;
최민순;
박성우;
이근광;
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;
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;
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;
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;
(韓國魚病學會誌= Journal of fish pathology,
v.7,
1994,
pp.161-171)
-
23
-
양식 가물치(Channa argus)에 대한 Saprolegnia sp.의 병리학적 특성과 물곰팡이의 생장을 제어하는 정유의 영향
-
이근광;
김영길;
이민웅;
이형환;
나주대학 환경보호과;
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;
동국대학교 응용생물학과;
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(한국균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,
v.27,
1999,
pp.32-38)
-
24
-
Autographa californica 핵다면체 바이러스의 세포외 미봉입비리온의 안전한 보존
-
이형환;
이근광;
이건주;
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안동대학교 생물학과;
(산업미생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18,
1990,
pp.660-661)
-
25
-
제주지역의 대기질 중의 음이온 및 양이온의 분포와 변이성
-
신방식;
이형환;
이근광;
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;
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;
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;
(한국자연치유학회지 = Journal of naturopathy,
v.7,
2018,
pp.10-19)
-
26
-
제주도 교래휴양림 지역의 대기질의 음이온 및 양이온의 분포와 변이성
-
신방식;
임동호;
이근광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;
(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,
v.19,
2018,
pp.384-395)
-
27
-
금강 하구둑 인근에서 미생물군집의 특성
-
배명숙;
박석환;
최강국;
이근광;
이건형;
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학부;
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학부;
한국생명공학원 환경생명공학연구실;
나주대학 피부미용과;
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학부;
(한국생태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,
v.28,
2005,
pp.129-134)
-
28
-
Dendrolimus spectabilis Nuclear Polyhedrosis Virus에 감염된 솔나방유충 중장세포의 전자현미경적 관찰
-
Lee, Hyung-Hoan;
Lee, Keun-Kwang;
Lee, Min-Woong;
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동국대학교 농생물학과;
(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,
v.21,
1991,
pp.21-26)
-
29
-
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- Cercaria tapidis, Cercaria harengulae 의 기생율 변동
-
김영길;
이근광;
김영진;
군산대학교 해양산업대학 수족병리학과;
군산대학교 해양산업대학 수족병리학과;
전라북도 가축위생 시험소;
(韓國魚病學會誌= Journal of fish pathology,
v.8,
1995,
pp.23-30)
-
30
-
짱뚱어,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(Linnaeus)의 간근육조직내(肝筋肉組織內) 단백질(蛋白質) 전기영동(電氣泳動) 분석(分析) 및 단백질(蛋白質), RNA 함량(含量) 변화(變化)
-
정의영;
이민웅;
이근광;
최수경;
오영남;
군산대학교 해양개발학과;
동국대학교 응용생물학과;
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;
동국대학교 응용생물학과;
군산대학교 해양개발연구소;
(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= 한국어류학회지,
v.4,
1992,
pp.96-1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