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슈만 그리고 상호매체성의 이슈들 (3): ≪다채로운 소품들≫ (Bunte Blätter, Op. 99)에서 나타나는 시각매체 ‘아라베스크’와 음악의 상호매체성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논단,
v.47,
2022,
pp.267-305)
-
22
-
사실의 간극을 채우는 페미니즘적 상상: 클라라 슈만 관련 전기영화 비평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20,
pp.113-138)
-
23
-
장일남의 관현악곡에 대한 조명: 교향시 ⟨한강⟩을 중심으로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17,
pp.5-44)
-
24
-
K-클래식의 미디어적 전환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1,
pp.29-51)
-
25
-
슈만 그리고 상호매체성의 이슈들 (1): 상호매체성 논의의 슈만 연구 적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이론연구,
v.37,
2021,
pp.65-100)
-
26
-
K-드라마 속 클래식 음악의 문화적 함의 - 드라마 ⟨빈센조⟩를 중심으로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149-170)
-
27.
- 음악과 도덕의 교과통합을 위한 초등학생 지도방안 연구 : 포가티의 공유형 모형을 활용하여
- 빙유진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2 p., 2019
-
28.
- 청소년 음악 장르 선호도 조사 연구 : 중학생을 중심으로
- 민효진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20 p., 2021
-
29.
-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세 음악 감상 수업 지도방안 : 그레고리오 성가를 중심으로
- 이슬이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26 p., 2024
-
30.
-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음악 활동에 대한 고찰 : 학생 주도 학습이론을 중심으로
- 김선아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50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