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39건 중 239건 출력
, 3/24 페이지
-
21.
- 이범선 문학에 나타난 고향 회복의 욕망과 좌절
- 서동규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128, 2022
-
22.
- 이범선 소설의 문체론적 고찰 : 1950년대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
- 고선옥
-
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3p., 2000
-
23
-
한·일 관계의 역학과 월남민 남성의 자아정체성 - 이범선 장편소설 ˹검은 해협˼ 연구 -
-
황정현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3,
2019,
pp.125-150)
-
24
-
상처받은 삶의 자기성찰-이범선의 장편 『흰 까마귀의 수기』
-
유임하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1,
1999,
pp.59-79)
-
25
-
이범선 연구의 비판적 검토
-
강진호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23-38)
-
26
-
전후 소설의 성격과 이범선 문학
-
하정일;
원광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5-21)
-
27
-
균형과 조화의 소설미학-이범선의 단편소설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39-57)
-
28
-
이범선의 첫 번째 장편소설 『울타리 저편에 핀 꽃』과 이범선 문학의 재인식
-
황정현;
고려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8,
pp.273-294)
-
29
-
서정(抒情)과 고발(告發)의 미학(美學) -이범선(李範宣)과 그의 작품세계(作品世界)-
-
이용남;
;
(국어국문학,
v.106,
1991,
pp.35-53)
-
30.
- 1950년대 서정소설 연구 : 황순원, 오영수, 이범선을 중심으로
- 문화라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62 p, 20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