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9건 중 129건 출력
, 3/13 페이지
-
21
-
이어령의 일본문화론과 전후세대의 식민주의적 무의식
-
전성욱;
동아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0,
pp.375-402)
-
22
-
이어령의 문학사상과 그 정신적 궤적
-
오세영;
서울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38,
2023,
pp.273-300)
-
23
-
The Versification and Late Style of Lee O-young
-
Jeong, Keutbyul;
;
(梨花語文論集,
v.57,
2022,
pp.117-146)
-
24
-
일석선생님의 시와 언어
-
이어령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22,
1994,
pp.398-399)
-
25
-
Camus, Marx, Lee O-Young : A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‘Bildung’ Through Essayism in the 1960s
-
오혜진,;
;
(韓國學論集,
v.51,
2013,
pp.137-178)
-
26
-
특별기획 1 - 21세기 서울 도시 · 건축의 문화적 정체성 ( The Cultural Identity of Seoul and Its Architecture in the 21st Century )
-
이어령;
;
(建築 =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,
v.43,
1999,
pp.15-16)
-
27
-
이어령 초기 문학 비평 연구
-
이도연;
고려대학교;
(순천향 인문과학논총,
v., 0,
2011,
pp.5-32)
-
28
-
이어령 희곡에 나타난 연극성
-
백소연;
가톨릭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2,
pp.59-80)
-
29
-
독서의 저해요인
-
이어령;
중앙일보;
(도협 월보,
v.6,
1965,
pp.5-5)
-
30
-
이어령의 미래학적 선언 연구
-
한혜원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2,
pp.147-1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