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54건 중 454건 출력
, 3/46 페이지
-
21
-
一然의 선사상과 宋의 禪籍
-
조명제;
신라대학교;
(보조사상,
v.33,
2010,
pp.189-221)
-
22
-
일연의 역사지리 인식
-
정천구;
;
(한국학,
v.43,
2020,
pp.303-334)
-
23
-
一然(1206~1289)의 사상적 경향
-
蔡尙植;
;
(한국문화연구,
v.1,
1988,
pp.31-56)
-
24
-
一然의 一統三韓 認識
-
김상현;
동국대학교;
(신라문화,
v.38,
2011,
pp.223-250)
-
25
-
Ilyeon and Biseul Mt. in Goryeo
-
Han, Ki-moon;
;
(歷史 敎育 論集,
v.63,
2017,
pp.129-154)
-
26
-
Writing of Pieun Section in Samgukyusa and Iryeon-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Hermitage and Participation
-
Kim, Soo-tae;
;
(新羅 文化 =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,
v.49,
2017,
pp.153-178)
-
27
-
일연의 역사지리 인식
-
정천구;
부산대학교;
(한국학,
v.43,
2020,
pp.303-334)
-
28
-
'During the war between Goryeo(高麗) and Mongolia(蒙古) in the 13th century, Buddhist education preface: focusing on the life of Il-yeon(一然)'
-
Lee, Mi-jong;
;
(韓國敎育史學=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,
v.44,
2022,
pp.79-112)
-
29
-
一然의 「重編曹洞五位」에 보이는 사상과 역사성
-
채상식;
부산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2,
pp.217-242)
-
30
-
一然 연구의 현황과 과제
-
채상식;
부산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23,
2006,
pp.5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