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한민족의 이동과 역사강역에 관한 연구
- 조성훈
-
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, 국내석사,
450, 2022
-
22
-
SNS 기록을 통해 본 대중의 가야 인식 -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
-
정선화;
동국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2,
pp.213-257)
-
23.
- 왜(倭) 5왕과 왜왕제도에 관한 연구
- 김주인
-
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58 P., 2024
-
24
-
모리스 꾸랑(Maurice Courant)의 고대 한ㆍ일관계사 인식과 그 특징
-
Park, Hyun-Sook;
Yoon, Jong-Pil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54,
2014,
pp.131-155)
-
25
-
‘하백녀 유화’ 연구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
-
김명옥;
건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38,
2016,
pp.383-410)
-
26
-
전북 가야설 비판과 새로운 견해 - 곽장근과 박천수의 견해를 중심으로 -
-
유진웅;
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;
(역사와 융합,
v.9,
2025,
pp.41-98)
-
27
-
新羅 征討 地理考(津田左右吉)
-
이부오;
장익수;
백석고등학교;
서강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09,
pp.433-452)
-
28
-
백제의 마한 병합 시기 연구 동향 및 쟁점
-
김기섭;
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24,
pp.299-332)
-
29
-
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
-
위가야;
동북아역사재단;
(동국사학,
v.0,
2024,
pp.5-41)
-
30.
- 가야 문화콘텐츠 연구 : 가야 역사·문화를 중심으로
- 이주한
-
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, 국내석사,
49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