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1건 중 301건 출력
, 3/31 페이지
-
21
-
박경리 문학의 여성인물 원형 연구—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
-
장미영;
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4,
2018,
pp.449-479)
-
22
-
웃음치료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
-
장미영;
광주대학교 간호학과;
(디지털융복합연구 =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,
v.12,
2014,
pp.501-508)
-
23
-
소설과 미디어콘텐츠의 상호매체성 - 2000년 이후 한국소설을 중심으로
-
장미영;
;
(國語文學,
v.52,
2012,
pp.255-286)
-
24
-
캥거루식 돌보기가 미숙아의 성장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
-
장미영;
을지대학교 간호대학;
(아동간호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,
v.15,
2009,
pp.335-342)
-
25
-
독일 낭만주의 문학의 ‘예술적 자율성’ 개념의 기원에 관한 소고 - 르네상스와 낭만주의 예술가의 자의식에 관하여
-
장미영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7,
2010,
pp.357-383)
-
26
-
디아스포라문학과 트랜스내셔널리즘(1) - 천운영 장편소설 『잘 가라, 서커스』를 중심으로
-
장미영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0,
2010,
pp.442-460)
-
27
-
플립러닝 기반 인구교육이 수업 만족도와 결혼 및 출산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
-
장미영;
광주대학교;
(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= Journal fo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,
v.11,
2017,
pp.227-234)
-
28
-
의료기관 가정간호 환자의 주 간호자가 인식한 재가복지서비스 요구 및 영향요인
-
장미영;
이가언;
동아대학교의료원 가정간호사업실;
동아대학교 간호학과;
(지역사회간호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,
v.20,
2009,
pp.443-452)
-
29
-
양성평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도와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
-
장미영;
류상희;
;
(한국실과교육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,
v.19,
2006,
pp.61-72)
-
30
-
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
-
장미영;
강균영;
진주보건대학교;
경동대학교;
(한국융합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,
v.8,
2017,
pp.79-8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