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부추속(Allium L.) 잎 표피의 구조와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
-
최혁재;
장창기;
고성철;
오병운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충북대학교 바이오연구소;
한남대학교 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34,
2004,
pp.97-118)
-
22
-
부추속(부추과)의 두 신분류군: 돌부추, 둥근산부추
-
Choi, Hyeok-Jae;
Jang, Chang-Gee;
Ko, Sung-Chul;
Oh, Byoung-Un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충북대학교 바이오연구소;
한남대학교 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34,
2004,
pp.75-85)
-
23
-
현호색속(현호색과) 6종의 자성배우자체 발달과정
-
오병운;
장창기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비엔나대학교 식물학연구소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32,
2002,
pp.467-480)
-
24
-
목포용둥굴레 변이 집단의 실체
-
이세령;
장창기;
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;
국립공주대학교 생물교육학과;
(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,
v.2022,
2022,
pp.50-50)
-
25
-
한국산 부추속(Allium, Alliaceae)의 분류학적 재검토
-
최혁재;
장창기;
고성철;
오병운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충북대학교 바이오연구소;
한남대학교 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34,
2004,
pp.119-152)
-
26
-
월악산 국립공원 내 금수산 일대의 식물상
-
엄정애;
양종철;
장창석;
장창기;
이철호;
김규식;
오병운;
;
(自然科學硏究: 忠北大學校附設基礎科學硏究所,
v.20,
2006,
pp.87-98)
-
27
-
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 정책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: 개인의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
-
장창기;
성욱준;
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,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;
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,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;
(정보화 정책 = Informatization policy,
v.29,
2022,
pp.60-83)
-
28
-
한국산 물통이속(Pilea) 식물의 nrDNA, cpDNA를 통한 계통분석
-
문애라;
박정미;
장창기;
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;
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;
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45,
2015,
pp.158-168)
-
29
-
엽록체 DNA 및 핵 DNA RNApol2_i23에 근거한 둥굴레복합체 (Ruscaceae)의 계통 연구
-
박정미;
정경숙;
오병운;
장창기;
국립생물자원관 대외협력과;
충북대학교 바이오연구소;
충북대학교 생물학과;
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41,
2011,
pp.353-360)
-
30
-
한국특산 누른괭이눈(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)의 형태적 특성 및 분포
-
한종원;
양선규;
김현준;
장창기;
강신호;
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;
충북대학교 생물학과;
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;
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;
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23,
2010,
pp.480-4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