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3/12 페이지
-
21
-
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, 수학적 문제 해결력, 추론능력간의 관계
-
이영주;
전평국;
고은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8,
1999,
pp.137-150)
-
22
-
상황적 인지론(situated cognition)과 수학 학습
-
박성선;
전평국;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수학교육학회지. 시리즈 E: 수학교육 프로시딩,
v.6,
1997,
pp.275-289)
-
23
-
수학퍼즐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
-
전평국;
안소영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13,
2002,
pp.169-182)
-
24
-
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
-
남윤석;
전평국;
대전옥계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45,
2006,
pp.75-96)
-
25
-
수학적 문제해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
-
전평국;
정인수;
한국교원대학교;
서울언북초등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C :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,
v.7,
2003,
pp.1-14)
-
26
-
디지털영화 ;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사이공간에 관한 연구 - 영화 “아바타”분석을 중심으로
-
Jeon, Pyeong-Kuk;
Kim, Hyoung-Doo;
;
(영화연구= Film studies,
v.54,
2012,
pp.95-116)
-
27
-
개방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소집단 구성원의 합의 패턴 분석
-
박우자;
전평국;
서울증산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C :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,
v.7,
2003,
pp.117-129)
-
28
-
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, 수학적 문제 해결력, 추론 능력간의 관계
-
이영주;
전평국;
고은초등학교;
한국교원대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C :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,
v.2,
1998,
pp.113-131)
-
29
-
공간 시각화 과정에서의 교구의 역할
-
전평국;
정부용;
한국교원대학교;
인천연성초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15,
2003,
pp.87-92)
-
30
-
문제설정 방법이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
-
이석희;
전평국;
대구성서공고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수학교육학회지. 시리즈 E: 수학교육 프로시딩,
v.5,
1997,
pp.355-38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