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3/12 페이지
-
21
-
정비석과 전집의 정전화 논리
-
최애순;
고려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0,
2011,
pp.45-74)
-
22
-
정비석의 『소설작법』에 대한 연구
-
박영준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1,
pp.39-63)
-
23.
- 1930년대 중·후반 소설의 가족과 섹슈얼리티 형상화에 관한 연구 : 김소엽, 안회남, 정비석의 작품을 중심으로
- 이원경
-
국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9 p., 2009
-
24
-
대중문화 콘텐츠로서 정비석의 ⟨자유부인⟩ 연구
-
강옥희;
상명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3,
pp.319-347)
-
25
-
정비석 소설의 영화화와 그 시대성
-
이길성;
중앙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0,
2011,
pp.173-204)
-
26
-
신문소설의 영화적 변용연구 - 정비석의 자유부인 그리고 한형모의 자유부인
-
김경숙;
연암국어;
(아시아영화연구,
v.11,
2018,
pp.117-144)
-
27
-
한국전쟁기 정비석의 여성전선 연구
-
최미진;
부산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7,
pp.305-330)
-
28
-
정비석의 「성황당」과 텍스트의 무의식
-
박진숙;
충북대학교;
(도시인문학연구,
v.13,
2021,
pp.47-77)
-
29
-
계몽과 해방의 미시사 -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-
-
강상희;
경기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1,
pp.177-196)
-
30
-
정비석의 ⟨소설 손자병법⟩ 중역본 수용 양상
-
김장선;
천진사범대학;
(국제문화연구,
v.8,
2015,
pp.63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