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엘리엇의 시에 대한 원형 이론적 연구
-
Byung-hwa Joh;
;
(T.S.엘리엇연구 = Journal of the T.S. Eliot Society of Korea,
v.6,
1998,
pp.291-317)
-
22
-
조병화의 시에 나타난 죽음 의식 연구
-
김삼주;
가천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12,
pp.227-270)
-
23
-
조병화의 중국 체험과 시적 수용 연구
-
김삼주;
경원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20,
2010,
pp.1-53)
-
24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꽃 이미지와 실존적 세계
-
이현정;
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학원 졸업생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1,
pp.151-182)
-
25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‘고독’의 문제’에 대하여
-
이재복;
한양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23,
pp.329-356)
-
26
-
1950년대 시론의 실존주의와 휴머니즘-박인환, 조병화, 전봉건을 중심으로-
-
박민규;
울산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3,
pp.367-405)
-
27
-
조병화의 시집 『개구리의 명상』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
-
강정구;
경희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7,
pp.7-28)
-
28
-
James Wright's Poetry: An Inward Quest for a World
-
조병화;
거제대학교;
(현대영미시연구,
v.10,
2004,
pp.229-254)
-
29
-
조병화 연작시화집 『석아화』(1958)에 나타난 ‘대만’ 인식 연구
-
서세린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20,
pp.49-83)
-
30
-
시 텍스트 읽기의 평이성 조건에 대한 연구-조병화의 작품을 중심으로-
-
민재원;
서울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1,
pp.143-1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