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막고굴 335호굴 유마경변의 도상분석을 통한 사천왕 도상 연구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14,
pp.197-222)
-
22
-
골굴 석굴과 인도 카를라 석굴의 비교고찰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18,
pp.73-89)
-
23
-
조선 후반기 제2기 불교건축과 예배상과의 관계에서 본 도상의미 연구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13,
pp.323-326)
-
24
-
석조기법의 형성과정과 중대신라 화강암 조각의 완성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73-99)
-
25
-
斷石山 神仙寺 磨崖佛의 圖像學的 再考 ‒ 삼국시대 授記三尊과 반가상 도상의 전개 ‒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16,
pp.275-302)
-
26
-
대승설법도상의 두 계보 연구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06,
pp.309-332)
-
27
-
興天寺 千手觀音像의 제작기법에 대한 고찰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7,
pp.37-52)
-
28
-
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의 미술사적 고찰
-
주수완;
우석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23,
pp.135-151)
-
29
-
흥천사 명부전 석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연구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19,
pp.71-93)
-
30
-
About the Globalization of Visual Art in History - From a Stylistic to an environmental propagation -
-
주수완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45,
2013,
pp.127-1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