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曾幾의 詩論과 그의 詠雨詩
-
최웅혁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0,
2010,
pp.165-188)
-
22.
- 文彭의 書藝와 篆刻 硏究
- 양미성
-
원광대학교, 국내석사,
ⅶ, 66p., 2008
-
23
-
韓國陽明學者鄭齊斗的經世思想
-
공붕정;
臺灣 中央大;
(양명학,
v.0,
2008,
pp.459-473)
-
24
-
문헌자료로 본 忱彌多禮의 위치
-
김영심;
가천대학교;
(백제학보,
v.0,
2013,
pp.67-90)
-
25
-
魏晉名士의 조롱과 해학의 언어유희 - ‘排調’의 구성적 특색과 의의 고찰 - 《世說新語》<排調>편을 중심으로 -
-
김민나;
서울여자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16,
pp.121-152)
-
26.
- 『金鰲新話』와 『剪燈新話』의 作家意識 比較硏究
- 한릉
-
韓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v, 74p., 2002
-
27
-
民國時代 학술사회의 분기와 수렴 ― ‘傳統派’ 錢穆과 ‘新派’ 傅斯年의 離合을 중심으로 ―
-
문명기;
인천대학교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0,
pp.99-131)
-
28.
- 虛實空間的移轉與流勤 : 宋元話本小說的空間探討
- 김명구
-
國立臺灣師範大學, 국외박사,
ii, III, 383 p., 1991
-
29
-
淸代 詞論 중 正變論 硏究
-
신현석;
순천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11,
pp.211-237)
-
30
-
明代 女性 散曲에 대한 試論
-
김지선;
이화여자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14,
pp.67-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