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5건 중 175건 출력
, 3/18 페이지
-
21
-
The Development of New Styles in Stone Buddhist Images in the Early Goryeo Period
-
진정환,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87,
2015,
pp.5-27)
-
22
-
Dating and Construction Background of the Three-Story Stone Pagoda at Weolnamsa Temple Site at Gangjin
-
진정환,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303,
2019,
pp.73-98)
-
23
-
대전류형 FB ZVS DC-DC 컨버터에 관한 연구
-
이병하;
진정환;
김인수;
성세진;
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;
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;
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;
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;
(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,
v.1995,
1995,
pp.365-367)
-
24
-
조선 후기 혜환 이용휴의 심학적 회화인식 연구
-
한경애;
단국대학교;
(서예학연구,
v.0,
2025,
pp.61-84)
-
25
-
瑞峰寺址 佛敎石造美術品의 特徵과 意義
-
진정환;
국립중앙박물관;
(문화사학,
v.0,
2019,
pp.51-79)
-
26
-
康津 月南寺址 三層石塔 造成時期와 性格
-
진정환;
국립광주박물관;
(미술사학연구,
v.303,
2019,
pp.73-98)
-
27
-
任實 珍丘寺의 所屬 宗派 變化에 대한 考察
-
진정환;
국립전주박물관;
(문화사학,
v.0,
2013,
pp.85-109)
-
28
-
高敞․扶安地域 地藏菩薩像의 編年과 造成背景
-
진정환;
국립전주박물관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4,
pp.9-44)
-
29
-
益山 深谷寺 七層石塔 出土品의 特徵과 性格
-
진정환;
국립전주박물관;
(전북사학,
v.0,
2014,
pp.433-460)
-
30
-
高敞 禪雲寺 兜率庵 磨崖佛의 編年과 造成背景
-
진정환;
국립중앙박물관;
(동악미술사학,
v.0,
2015,
pp.289-3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