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독일과 폴란드의 역사대화: 접경지역 역사서술을 중심으로 - 접경지역 역사서술을 중심으로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08,
pp.317-348)
-
22
-
연구의 축적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- 서양중세사연구 현황 (2013~2014)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5,
pp.193-210)
-
23
-
서양 중세의 남장여성(男裝女性) - Hildegund von Schönau의 역사성 재검토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09,
pp.137-164)
-
24
-
서양 중세의 정의로운 전쟁 - 11세기의 평화론과 전쟁론을 중심으로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2,
pp.165-189)
-
25
-
서양 중세 귀족 부인들의 정치력에 대한 연구 ― 긴느 가의 여인들을 중심으로 ―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사림,
v.0,
2008,
pp.259-285)
-
26
-
서양 중세사 학계의 최근 연구동향-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연구를 중심으로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05,
pp.229-248)
-
27
-
여성, 결혼, 문화 전파: 오토 2세와 테오파노의 결혼식(972)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6,
pp.391-423)
-
28
-
; 김중기 지음,『고딕 문화의 탄생』 ; (미당, 2003), 287쪽
-
차용구;
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3,
pp.1-38)
-
29
-
중세 교회의 여성관 -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재검토-
-
차용구;
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3,
pp.71-100)
-
30
-
중세의 사료위조에 대한 심성사적 접근
-
차용구;
고려대학교;
(서양중세사연구,
v.10,
1998,
pp.1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