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국가제사로 고구려 역사를 논하다 - 강진원, 『고구려 국가제사 연구』 (서경문화사, 2021) -
-
채미하;
한국교통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3,
2022,
pp.209-220)
-
22
-
삼한의 ‘祭天’과 동예 舞天의 포용성
-
채미하;
;
(백제문화,
v.0,
2020,
pp.49-67)
-
23
-
신라 명산대천의 사전(祀典) 편제 이유와 특징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07,
pp.235-254)
-
24
-
중·고등학교 『역사』·『한국사』의 신라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107-134)
-
25
-
신라의 사해와 사독
-
채미하;
;
(역사민속학,
v.0,
2008,
pp.7-40)
-
26
-
고려시대 東明에 대한 인식 - 국가제사를 중심으로 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09,
pp.143-176)
-
27
-
진성왕 전후의 외교문서와 신라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7,
pp.109-140)
-
28
-
신라의 冊封儀禮와 그 기능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17,
pp.55-96)
-
29
-
한국 고대 신모(神母)와 국가제의(國家祭儀) –유화와 선도산 신모를 중심으로–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6,
pp.7-42)
-
30
-
신라 ‘三姓交立’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1,
pp.145-1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