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모빌리티 렌즈로 바라본 최부의 『표해록』
-
정은혜;
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;
(인문학연구,
v.0,
2020,
pp.449-481)
-
22
-
금남 최부의 정치 활동과 인재관 –성종 17년 重試 책문과 최부의 대책문을 중심으로-
-
안소연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9,
2018,
pp.199-227)
-
23
-
Choi-bu's <Pyohaerok> and dialogic reconstruction of experience
-
서인석;
;
(고전문학과 교육 =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,
v.13,
2007,
pp.31-66)
-
24
-
최부의 ⟨표해록⟩에 대한 두 가지 의문
-
이복규;
서경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08,
pp.231-257)
-
25
-
崔溥 『漂海錄』 版本考
-
朴元熇
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26,
2003,
pp.113-132)
-
26
-
최부 『표해록』에 나타난 이념과 의미 및 강남 이미지
-
박명숙;
蘇州大學;
(온지논총,
v.0,
2011,
pp.101-134)
-
27
-
최부≪표해록≫문화사적 가치와 한.중 문화융합
-
이광혁;
호남대학교 중국어과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19,
pp.437-452)
-
28
-
최부의 ⟨표해록⟩에 나타난 해외 체험과 체험의 대화적 재구성
-
서인석;
영남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7,
pp.31-66)
-
29
-
구글맵을 활용한 최부 『표해록』의 노정 복원
-
주성지;
동북아역사재단;
(역사민속학,
v.0,
2019,
pp.229-263)
-
30
-
'표해록'에 나타난 조선 시대 선원 조직과 항해술
-
김성준;
한국해양대학교;
(한국항해항만학회지 =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,
v.30,
2006,
pp.787-7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