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25건 중 725건 출력
, 3/73 페이지
-
21
-
근대 가족법의 위반과 소설적 재현-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-
-
조미희;
한양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21,
pp.233-255)
-
22.
-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자아의식 연구
- 강신해
-
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06
-
23
-
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모성 연구
-
이병순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5,
pp.217-240)
-
24
-
최정희 초기 소설에 나타난 ‘서울’ 스토리텔링 양상과 의미
-
조미숙;
건국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8,
pp.313-343)
-
25
-
비체화한 모성의 우울중과 육친애 - 최정희 〈지맥〉과 〈천맥〉고
-
김주리;
;
(人文硏究,
v.55,
2008,
pp.233-262)
-
26
-
최정희의 해방 전/후와 ‘부역’의 젠더 정치
-
공임순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7-37)
-
27
-
최정희와 ‘군국의 어머니’―최정희 산문 「군국의 어머님들」, 「군국모성찬」과 일본문학보국회 『日本の母』 텍스트 비교를 중심으로―
-
우시지마 요시미;
선문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1,
pp.463-490)
-
28.
- 장애령과 최정희 소설의 여성형상과 작가의 여성관 비교연구 : 박계령
- 박계령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5, 2015
-
29
-
최정희의 초창기 단편소설 연구
-
김미영;
;
(구보학보,
v.0,
2016,
pp.180-211)
-
30
-
‘범주 우선성’의 문제와 최정희의 식민지 시기 소설
-
김복순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3,
2008,
pp.253-2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