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3/17 페이지
-
21
-
국궁과녁의 변천과 정체성: 조선의 화첩과 사료를 중심으로
-
최석규;
서울대학교;
(한국체육사학회지,
v.19,
2014,
pp.47-61)
-
22
-
관암(冠巖) 홍경모(洪敬謨)의 연행과 《연행시화첩(燕行詩畵帖)》
-
박정애;
;
(한국학,
v.46,
2023,
pp.309-359)
-
23
-
관암(冠巖) 홍경모(洪敬謨)의 연행과 《연행시화첩(燕行詩畵帖)》
-
박정애;
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;
(한국학,
v.46,
2023,
pp.309-359)
-
24.
- 18세기 영남문인 李萬敷와 李宗岳의 世居圖 연구
- 이랑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, 201 p., 2012
-
25
-
한지의 구김과 화첩의 변용을 통한 예술 표현 연구-본인의 교육사례를 중심으로-
-
이호욱;
서울대학교;
(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,
v.21,
2021,
pp.35-60)
-
26.
- 肅宗 45년(1719) 《耆社契帖》과 英祖 20년(1744) 《耆社慶會帖》 연구
- 임지연
-
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87 p., 2017
-
27.
- 기행다큐멘터리 제작 경향에 관한 연구 : TJB <화첩기행>을 중심으로
- 전영식
-
목원대학교 언론광고홍보대학원, 국내석사,
70 p., 2012
-
28
-
한국전쟁기 대중소설의 서사 전략과 젠더 정치: 이무영의 『사랑의 화첩』과 정비석의 『애정무한』을 중심으로
-
서승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여성학논집,
v.30,
2013,
pp.3-24)
-
29.
- 19세기 金剛山圖 硏究
- 이영수
-
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08 p., 2016
-
30
-
『포은(圃隱) 정몽주전(鄭夢周傳) 조선역대위인(朝鮮歷代偉人) 서첩(畫帖) 제1집』의 해제와 그림책으로서의 의의
-
이은주;
단국대학교;
(근대서지,
v.27,
2023,
pp.699-7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