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Marriage as it's meant to be]
-
21
-
조선전기 친족의식과 동성혼
-
박진;
고려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20,
pp.5-32)
-
22
-
19세기 중인의 초혼 연령 및 배우자의 신분 -현탁 가문과 김상순 가문의 사례-
-
김두헌;
국제디지털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09,
pp.145-183)
-
23
-
트랜스퍼시픽 이주와 미국의 예외주의: 20세기 초 서부의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본 미국
-
권은혜;
힌양대학교;
(미국사연구,
v.36,
2012,
pp.107-137)
-
24
-
『삼설기』 ⟨노처녀가⟩에 나타난 장애 인식과 그 의미
-
정미숙;
순천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23,
pp.59-80)
-
25.
- 만혼 중년남성이 경험한 '아버지 됨'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
- 박지원
-
경성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23 p., 2017
-
26
-
『제인 에어』 다시 읽기-전복, 저항, 타자의 광기를 중심으로
-
김민경;
계명대학교;
(신영어영문학,
v.0,
2024,
pp.23-41)
-
27
-
1970년대 여대생의 성(性)과 사랑의 윤리 - 구혜영의 1970년대 청춘소설을 중심으로 -
-
안미영;
건국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47,
2014,
pp.211-245)
-
28
-
타하 후세인의 프랑스 문화 예찬
-
정규영;
조선대학교;
(국제문화연구,
v.2,
2009,
pp.109-132)
-
29.
- 여성 갑상선암 생존자의 불안 극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
- 김태연
-
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15, 2015
-
30
-
⟨이현경전⟩의 후대적 수용과 의미
-
이병직;
부산금성고등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0,
pp.161-1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