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4건 중 424건 출력
, 36/43 페이지
-
351.
- 마한·백제권 석곽묘의 변천
- 이진우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2, 2014
-
352
-
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
-
이상엽;
충남역사문화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09,
pp.162-196)
-
353
-
원삼국시기 김해지역의 목관묘・목곽묘 전개와 구야국
-
최병현;
숭실대학교;
(중앙고고연구,
v.0,
2022,
pp.1-54)
-
354
-
新石器時代 中期~晩期 韓日土器文化交流의 特質
-
후루사와;
나가사키현 매장문화재센터 동아시아고고학연구실;
(한국신석기연구,
v.0,
2011,
pp.1-32)
-
355
-
신라 형성기 경주 도심지구 고분군 및 생활·생산유구의 분포양상과 의미
-
이원태;
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;
(중앙고고연구,
v.0,
2024,
pp.1-34)
-
356.
- (The) archaeology of early rice cultivation in Korean peninsula
- 조현종
-
全南大學校, 국내박사,
xii, 198 p., 2008
-
357.
- 백제 사비도성의 묘역 조성과 확장
- 장재원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43, 2020
-
358
-
장년리유적의 시간적 위치에 대한 재고 -신석기시대문화층을 중심으로-
-
이승윤;
목포대학교;
(고문화,
v.0,
2008,
pp.5-26)
-
359.
- 전남지역의 고대 토기 및 도자기에 관한 자연과학적 연구
- 강경인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04p., 1997
-
360
-
경주 지역 지석묘 문화의 특징과 종말기의 양상
-
이수홍;
울산문화재연구원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3,
2020,
pp.216-2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