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59건 중 559건 출력
, 37/56 페이지
-
361
-
예술고등학교 무용교육에 관한 연구 -한ㆍ미 예술고등학교 무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-
-
조은숙;
중앙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11,
2003,
pp.165-179)
-
362
-
아르누보(Art Nouveau)적 관점에서 본 로이 풀러(Loie Fuller)의 예술 성향에 관한 연구
-
조은숙;
중앙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25,
2008,
pp.217-235)
-
363
-
한국어의「N+A」구문과 일본어의「A+N」구문 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ー
-
조은숙;
중앙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09,
pp.581-600)
-
364
-
日·韓表現構造の對照硏究 - 受動表現における文法的なズレと視点のズレ -
-
조은숙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일어일문학연구,
v.48,
2004,
pp.181-200)
-
365
-
안나 소콜로우(Anna Sokolow)의 혁명적 무용에 관한 연구
-
조은숙;
중앙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30,
2010,
pp.221-241)
-
366
-
식민지시기 ‘동화회(童話會)’ 연구 -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-
-
조은숙;
춘천교육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6,
pp.225-264)
-
367
-
한·일 양국어의 언어유형연구- 인지구조로 본 능동과 수동구조 -
-
조은숙;
세명대학교;
(언어와언어학,
v.0,
2006,
pp.139-162)
-
368
-
「살로메의 환영(The Vision of Salome)」에서 나타나는 모드 알렌(Maud Allan)의 무용 세계
-
조은숙;
중앙대학교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70,
2012,
pp.189-204)
-
369
-
마사 그라함(Martha Graham)의 아메리카니즘(Americanism)을 토대로 한 작품들에 관한 연구 - 「미국 공문서(American Document)」를 중심으로 -
-
조은숙;
중앙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10,
2002,
pp.211-227)
-
370
-
한국인을 위한 교학문법 설계방안 - 초급과정을 중심으로
-
조은숙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연구,
v.67,
2016,
pp.139-1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