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“躬履清蹈”考
-
황연;
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;
(중국학,
v.0,
2025,
pp.99-112)
-
32
-
≪龍圖公案≫ 속 그녀들의 파괴적 아니무스(Animus) - <耳畔有聲>과 <手牽二子>를 대상 작품으로 -
-
고숙희;
대진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10,
pp.299-318)
-
33.
- 루쉰 소설의 여성 의식 硏究 : 『?喊』,『彷徨』을 中心으로
- 이혜인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95 p., 2015
-
34
-
陳廣宏:《中國文學史之成立》
-
龔 宗傑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18,
pp.279-286)
-
35.
- Research on the 'Appreciation of the peculiar' in Late Ming painting
- 羅小顔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47 p., 2025
-
36.
- 阮籍 隱逸詩 硏究
- 안경숙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41 p., 2010
-
37.
- 증공 서문 연구
- 이여영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6 p., 2014
-
38.
- 葉適의 공부론 : 學禮를 중심으로
- 박지웅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8 p., 2017
-
39
-
임진왜란 전후 조선과 명조 학자들의 학술논변
-
이경룡;
세종대학교;
(명청사연구,
v.0,
2008,
pp.49-89)
-
40.
- 南宋 初期 詩壇 硏究
- 김성수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362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