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812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비대면 온라인 공예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사례 연구
-
장지수;
정진헌;
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;
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;
(디지털융복합연구 =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,
v.19,
2021,
pp.277-282)
-
32.
- 韓國 工藝敎育의 役割과 位置
- 김동기
-
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v, 68p., 2003
-
33
-
일본 현대 산업직물에 나타난 신기술과 전통공예의 접목 경향
-
박남성;
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섬유디자인;
(디자인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,
v.20,
2007,
pp.229-242)
-
34
-
공예문화마케팅을 위한 디자인 경영과 성공사례
-
민숙현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6,
2005,
pp.257-266)
-
35
-
日帝時期의 博覽會政策과 近代工藝
-
최공호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11,
2000,
pp.117-137)
-
36
-
『三國遺事』萬佛山과 新羅工藝
-
張忠植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1997,
1997,
pp.359-370)
-
37
-
朝鮮初期의 工藝政策과 그 理念
-
崔公鎬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194,
1992,
pp.77-88)
-
38
-
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현황과 과제 - 공예기술을 중심으로
-
위주영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s,
v.2010,
2010,
pp.499-531)
-
39
-
전통공예의 전승과 변화 - 복조리 사례를 중심으로
-
정성미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20,
2012,
pp.193-233)
-
40
-
순천 선암사 불교 공예품의 현황과 특징
-
최주연;
독립연구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23,
pp.63-108)